박물관 소개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서화부터 근대미술, 동시대미술을 관통하는 한국근현대미술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우리 근현대미술 사료를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에 정확한 미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박물관은 유실되어가는 기억과 실물자료들을 끊임없이 수집하여, 이를 전시 개최, 단행본 발간과 연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억과 자료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나아가 한국미술의 서사구조 강화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교육프로그램 소개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박물관에 소장된 미술자료를 바탕으로 미술사적 사실과 가치에 대한 지식 습득을 벗어나 다방면의 관점으로 생각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합니다. 미술자료의 당시 문화와 사회적 배경을 알아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지나왔는지, 현재 어떤 가치를 가지고 박물관에 수집되었는지 확장된 사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야기 중심의 자료 해석과 다양한 표현 활동을 통해 흥미롭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023년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은 박물관의 소장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육전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약 5월에서 10월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전시가 이루어질 것이며, 전시와 연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박물관의 소장자료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하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으로 풀어내기 위해 이번 길 위의 인문학 교육프로그램 키워드는‘풍속’으로 정하였습니다. 풍속은 인문학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풍속에는 사람과 삶이 있습니다. 풍속에는 옷과 음식, 집 뿐만 아니라 놀이, 문화, 명절, 예술 등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삶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풍속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옛날 사람들의 삶을 살펴보고, 오늘날 우리의 삶과도 연결시켜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의 풍부한 미술작품 및 자료 등에 나타난 인간의 삶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예술의 역사를 더욱 입체적으로 경험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교육프로그램 내용 🎨
<두런두런 꿀비와 풍속이야기>
수준1) 만5세~초등2학년 / 수준2) 초등3~6학년
1. 옛날 사람들이 입던 옷
수준 1) 아름다운 우리 한복
수준 2) 계절별 옷감의 종류
2. 옛날 사람들이 먹던 음식
수준 1) 우리의 명절 음식
수준 2) 한 그릇 우리 음식 만들기
3. 옛날 사람들이 살던 집
수준 1) 내가 살고 싶은 집
수준 2) 나만의 한옥 만들기
4. 의식주에서 발견한 오방색
수준 1) 오방색 점토비빔밥 만들기
수준 2) 색동저고리 만들기
5. 우리나라의 전통놀이
수준 1) 핑이, 팽이
수준 2) 훨훨 나는 연
6. 세계의 전통놀이
수준 1) 일본의 전통놀이
수준 2) 러시아의 전통놀이
7. 아름다운 우리 공예
수준 1) 예쁜 종이 노리개
수준 2) 갓은 언제 썼을까
8. 우리의 전통 악기
수준 1) 동동, 소고 만들기
수준 2) 둥둥, 장구 만들기
9. 우리나라 전통 춤과 문화
수준 1) 나만의 부채 만들기
수준 2) 덩실덩실 전통 탈
10. 우리나라와 세계의 명절
수준 1) 우리의 추석과 중국의 중추절 – 송편과 월병 만들기
수준 2) 우리의 추석과 중국의 중추절 – 중국의 투얼예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