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은 미래세대에 전달할 보편적 가치가 있는 자연이나 문화로 보존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유산이다.
*세계유산에 등제되어 우표로 발행된 우리나라 유산을 알아본다.
*박물관 자료와 역사속 이야기를 통해 우리나라 세계유산을 알아본다.
석굴암,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화성, 경주역사지구,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유적,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인 하회마을, 양동마을,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문화유산 등제 이후 우표로 발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영상으로 찾아가는 문화유산 여행을 한다.
*우표로 여행하는 전국문화유적투어를 한다.
*세계유산으로 지정하면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 받은 것이다.
*우표를 통해 우리나라 유네스코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알게하고 보존해야하는 중요성을 알게 한다.
*우리동네 문화유산도 잘 보호하고 세계문화유산에 추천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찾아본다.
– 정량적 목표
|
||||||
*우표는 한나라의 역사,문화,경제의 흐름을 알 수 있다.
*우표를 붙이고 편지쓰는 행위는 점점 줄어들지만 이러한 시대의 흐름이 문화의 흐름이고 또 인문학의 흐름이라 생각된다. *우표로 우리 문화유산을 알아보며 조상들의 지혜와 생활을 알아보고 우리들의 삶의 방향성을 알아본다. *비대면 시대로 영상으로 여행하며 문화유산을 알아보는것은 인문학의 흐름이라 할 수 있다. |
프로그램 상세개요 | |
프로그램 명
(대주제) |
우표로 만나는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
주요 콘텐츠 |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제되어 우표로 발행된 한국의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
교육구성 | ☑강연 □ 감상 ☑전시해설 ☑ 체험 ☑탐방 ☑발표 및 토론 |
교육기간 | ㅇ 3월 15일(월요일) ~ 11월 30일(화요일)
ㅇ 총54회차 운영 – 자유기획: 44회차 – 자유학년(기)제: 10회차 |
교육대상 | ㅇ 대상 :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성인 |
교육내용 |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등제되어 발행된 우표를 보며 알아본다.
*문화유적과 자연유적의 유물들을 자세히 알아본다. *석굴암 본존불, 불국사, 창덕궁 선정점,인정전, 화성의 동북공심돈 방화 수류정,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대능원, 안압지,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유적, 조선왕릉, 태조 건원릉, 세조 영릉, 한국역사마을 하화의 옥연정사와 하회탈, 양동마을, 향단, 해인사 장경판전, 제주화산섬 용암동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표를 지도에 붙이며 유적을 알아본다. *경주 역사 유적지구를 신라1,000년에 문화 유산으로 알아본다. *백제 역사지구인 부여, 공주지역의 700년 백제 문화유산을 알아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