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북촌동양문화박물관

『선조의 지혜로 배우는 너와 나, 우리 모두 사랑하기』 『우리 전통 문양과 그림이 갖는 기복적 염원』

소개

소개

북촌동양문화박물관은 조선 세종시대 효자이며 청백리요 대학자였던 고불 맹사성 대감이 사시던 집터에 위치하고 있어 역사적 의미가 남다르며, 또한 북촌한옥마을 내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서울의 내사산과 서울 도성, 경복궁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명소입니다.

[대면 프로그램] – * 대면 프로그램 마감입니다.

『선조의 지혜로 배우는 너와 나, 우리 모두 사랑하기』프로그램은 박물관의 소장품과 박물관의 지리적 위치가 갖는 역사, 문화적 의의를 학습함으로써 우리 문화와 전통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선조의 지혜가 담긴 문화 예술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나를 사랑하고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올바른 방법을 배우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총 세 가지 소주제로 구성된다.

  1. [박물관 소장품으로 배우는 우리문화 사랑하기] 박물관의 소장품 중 선조들이 사용하였던 문방사우의 이름, 용도 등을 배우고 글씨, 도자기 등 다양한 예술품들의 문화, 역사, 예술적 의의를 탐구하며 한국 예술사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1. [의복의 멋과 전통다도]교육은 역사적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선조들의 의복문화와 다도문화, 그리고 차에 관련된 성현들의 글귀를 통하여 예절과 교양적인 지식을 더하는 동시에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을 일깨우고 타인과의 공감, 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심신의 건강을 지키는 좋은 방법을 제시한다.
  1. [믿음의 상징, 나의 이름]교육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전각재(도장)에 자신의 이름을 직접 새기는 체험교육으로서 나의 이름을 직접 쓰고 새기며 이름을 아름답게 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예술적인 캘리그라피를 교육하는 동시에 나의 이름을 사랑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 나의 이름이 담긴 도장이 갖는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나의 이름이 새겨진 도장을 찍는 이유는 타인에게 믿음을 주기 위함이다. 믿음의 중요성과 믿음을 주기 위하여 새겨 넣는 나의 이름이 갖는 중요성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제공하며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신의를 저버리지 않는 올바른 인간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비대면 프로그램] * 비대면 프로그램 마감입니다.

『우리 전통 문양과 그림이 갖는 기복적 염원』프로그램은 박물관의 꽃담, 전시 예술품 속 전통문양과 우리 민화 속 상징물들이 갖는 기복적인 의미를 학습함으로써 선조들의 염원이 무엇이었는지 엿볼 수 있으며 이러한 염원은 현재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염원과도 연결이 된다. 선조들의 지혜와 해학이 담긴 전통문양과 그림을 통하여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으며 인문학적 소양을 쌓는 쉽고 재미있는 비대면 체험프로그램이다.

  1. [박물관 꽃담과 전시물 속 전통문양] 교육은 박물관의 꽃담 속 전통문양, 전시 예술품 속 전통문양의 종류, 이름, 의미 등을 학습한다. 이러한 문양들이 갖는 기복적인 의미를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의 염원과 연결하여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 여러 문양을 따라 그려보는 체험활동으로 예술적 소양을 쌓는다.
  1. [복을 주는 아름다운 우리 민화] 교육은 여러 가지 민화를 감상하며 해당 민화작품 속 사물들이 갖는 기복적인 상징이 무엇인지 배운다. 지혜와 해학이 담긴 우리 민화가 주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치유와 공감을 얻는다. 또한 벽사(나쁜 것을 쫓는다)의 의미가 있으며 2022년 호랑이의 해와 잘 어울리는 호작도 우드 시어터를 만드는 체험활동 시간을 갖는다.

박물관 / 프로그램 정보

  • 관명: 북촌동양문화박물관
  • 주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1길 76 북촌동양문화박물관
  • 전화번호: 02-723-0190
  • 프로그램명: 『선조의 지혜로 배우는 너와 나, 우리 모두 사랑하기』
  • 『우리 전통 문양과 그림이 갖는 기복적 염원』
  • 운영기간: 2022.05~2022.11

프로그램 구분

대면
비대면

위치

Created with Sketch.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1길 76
Created with Sk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