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애보박물관

옥토끼와 떡 이야기

소개

옥토끼와 떡 이야기 part 1.

▷ 방식 : 비대면-녹화 영상  or 대면-박물관 실내교육

▷ 내용 : 떡을 만들 때 사용하던 역사를 간직한 공예품을 관람한다. 돌절구에는 옥토끼 두 마리가 두발로 절구 앞에 서서 무엇인가를 열심히 찧고 있는 모습이 양각되어있다. 문자도 ‘치(恥)’에는 달과 옥토끼가 그려져 있다. 의인을 위해 토끼가 선약을 만드는 모습을 표현한 것인데, 염치를 아는 자가 의인이고, 의인을 위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옥토끼를 그려 넣은 것이다. 이와 같이 옥토끼의 이야기는 다양하고 친근하며 전달하고자 하는 교훈과 의도가 있다. 이외 떡을 만들 때 사용하였던 시루, 절구, 절굿공이, 떡판과 떡메, 떡을 운반한 가자 등을 전시영상 또는 실물관람하며 옥토끼와 떡에 대한 활동지를 풀어본다.

옥토끼와 떡 이야기 part 2.

▷ 방식 : 비대면-녹화 영상  or 대면-박물관 실내교육 또는 찾아가는 박물관

▷ 옥토끼 이야기-

  1. 역사 속 옥토끼 이야기, 유물 속 달과 토끼 이야기 등에 대해 알아본다.
  2. 떡 이야기-명절 떡과 잔치떡의 종류와 유래에 대해 살펴본다. 명절 떡 중 설날, 정월대보름, 삼짇날, 단오, 추석과 같은 음력명절에 만들어 먹는 떡과 통과의례에 사용된 떡을 알아보며 한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우리 일상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떡에 대해 알아본다.
  3. 떡 만들기-우리 조상들이 떡을 만들 때 사용한 도구를 알아보고 찌는 떡, 치는 떡, 삶는 떡, 지지는 떡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본다.

옥토끼와 떡 이야기 part 3.

▷ 방식 : 대면-박물관 실내교육 또는 찾아가는 박물관

▷ 내용 : 옛날 이야기 속 옥토끼가 되어 떡을 만들어 본다.

  1. 가래떡, 절편, 인절미, 개피떡 등 치는 떡의 종류에 대해 알아본다.
  2. 시루에 안쳐 푹 쪄낸 떡을 미니 절구에 넣고 쫄깃하게 치댄다.
  3. 스크래퍼로 떡을 나누고 콩가루를 묻혀 포장한다.

프로그램 구분

대면
비대면

위치

Created with Sketch.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의골로 71
Created with Sk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