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옛터민속박물관

한국 전통 빛깔을 찾아서: 천연염색 & 등불 만들기

소개

한국 전통 빛깔을 찾아서 :

천연염색

[옛터민속박물관]

옛터민속박물관은 2001년 3월 개관한 대전광역시 제4호 사립박물관으로 등록된 민속전문박물관입니다. 저희 박물관은 생활사 전반의 민속유물을 체계적으로 수집·보존·연구·전시·교육하는 공간으로 점차 소멸되어가는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여 대전지역의 문화예술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민속문화를 소개하는 열린 공간으로 시민들의 문화의식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장신구(佩飾), 고화(古畵), 고서(古書), 민예품(民藝品), 도토기(陶土器), 자기(磁器), 석조(石造), 고가구(古家具)등의 다양한 유물을 소장 및 전시하고 있습니다.

옛터민속박물관은 매년 전시실에서 특별기획전을 열어 소장 유물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문화의식 함양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대전시 평생교육 박물관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천연염색 (쪽염색&황토염색) 프로그램] – 대면 (20인 이상 단체만 받습니다!)

우리의 조상들은 하늘과 땅, 꽃과 낙엽을 통해 자연의 색을 만들어 활용했습니다. 자연의 색은 과거부터 인간에게 편안함을 선물하고,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미쳐 예로부터 내려져 왔습니다. 이 천연염색에 쓰이는 재료의 확보 방법부터 색을 추출해 나가는 과정 등을 배움으로서 선조들의 기술력을 알아봅시다!

1회차: 강연 및 토론 (60분)

▷ 주제 : 천연염색에 대하여

▷ 방식 : 대면 – 현장 탐방 및 강연

▷ 내용 : 박물관 탐방 및 천연염색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강연 진행

  1. 박물관 관람 및 야외전시장 탐방하기

옛터민속박물관 전시, <조선여인들의 화려한 초청> 展 과 야외전시장을 관람 및 탐방하며 전시해설사가 도슨트 프로그램을 진행.

  1. 염색할 천에 대해 알아보기

조상들이 사용했던 천의 종류(목화를 이용한 광목, 대마를 이용한 삼베, 누에고치를 이용한 비단)를 강사가 직접 실물로 보여주면서 설명.

  1. 염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식물성 염재(쪽풀의 쪽, 양파, 메리골드, 홍화 등), 동물성 염재(선인장에 기생하는 연지충 등), 광물성 염재(황토, 돌가루 등)을 이미지를 통해 설명.

  1. 매염의 방법과 매염제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매염의 방법(염색전은 선매염 후에 하는 후매염), 매염의 종류(식초, 명반, 철, 동 등)를 PPT 자료를 통해 설명.

  1. 염색 방법 알아보기

침염(염재를 끓이거나 우려낸 염액에 천을 주물러 염색하는 방법), 무늬염(염색할 천을 묶거나 바느질 등 염액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문양이 생기도록함.)을 영상자료를 통한 수업 진행.

2회차: 체험 (120분)

▷ 주제 : 자연으로 물 들여요!

▷ 방식 : 대면 – 체험

▷ 내용 :

염색 실습

염색할 천(손수건)의 정련(천 생산시 생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탁하는 것) → 염색하기(침염하기 전 천을 끈이나 고무줄로 묶어 상상 속 무늬를 만든다.) → 매염(사용할 매염제를 물에 녹인다.) → 수세(매염된 천을 물에 4 ~ 5회 행궈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헹군다.) → 건조(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한다.)

염색 상태 확인

목적했던 염색과 무늬가 잘 나왔는지 살펴본 뒤, 색을 더 짙게 하거나 새로운 무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토론.

박물관 / 프로그램 정보

  • 운영: 옛터민속박물관
  • 일시: 2023년 4월 - 2023년 11월
  • 문의: 042)274-4008
  • 주소: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 321-35 (하소동)

프로그램 구분

대면

위치

Created with Sketch.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 321-35
Created with Sk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