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제주공예박물관

제주문자도에 나타난 문화와 예술적 이해

소개

■  제주공예박물관  ■

제주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저지문화예술인마을에 위치한 제주공예박물관은 50여 년에 이르는 양의숙 관장의 고미술화랑 운영 경력을 토대로 수집한

제주공예 및 다채로운 전국의 민속공예품을 다각도로 연구, 조명하여 매년 2회의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삶에  밀접하게 닿아 있는 공예를 통해 제주 사람들의 삶과 그 바탕이 되었던 자연환경까지 살펴볼 수 있도록

인문학적으로 접근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의 공예를 전문적으로 소개하는 박물관으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  2022년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

<제주문자도에 나타난 문화와 예술적 이해>

2022년 제주공예박물관에서 진행하는 길 위의 인문학은 제주문자도를 중심으로 한 제주의 독자적인 생활 문화와 예술성을 이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제주문자도: 19세기 말- 20세기 초, 8폭 병풍, 종이에 채색, 각 105×37cm

 < 제주문자도: 19세기 말- 20세기 초, 8폭 병풍, 종이에 채색, 각 105×37cm>

박물관 / 프로그램 정보

  • ■ 제주문자도에 나타난 문화와 예술적 이해 - 옹기
  • - 교육대상 : 성인
  • - 모집기수 : 2기
  • - 회차별 교육인원 : 20명
  • - 강의 내용
  • 1차시 : 제주 돌가마와 제주옹기 제작법 (강사: 김정근 굴대장_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14호 옹기장)
  • 2022. 5. 15 (일) 오전 10시, 구억마을 전통옹기 전수관
  • 2차시 : 제주옹기의 역사적 _연원과 전파 (강사: 김은석 교수_제주대 교육대학 자연문화유산학과)
  • 2022. 5. 21 (토) 오후 3시, 제주공예박물관
  • ■ 제주문자도에 나타난 문화와 예술적 이해 - 제주문자도
  • - 교육대상 : 성인
  • - 모집기수 : 1기 (6월 25일/ 7월 2일, 16일, 23일, 8월 27일, 10월 22일)
  • - 회차별 교육인원 : 20명
  • - 강의 내용
  • 1차시 : 망탈리테 역사, 제주민중문화에 어떻게 접목시킬까 (강사: 김은석 교수_제주대 교육대학 자연문화유산학과)
  • 2차시 : 망탈리테 역사를 통해 보는 제주문자도 (강사: 김은석 교수_제주대 교육대학 자연문화유산학과)
  • 3차시 : 현대민화와 제주문자도 1 (강사:루씨손_현대민화작가)
  • 4차시 : 현대민화와 제주문자도 2 (강사:루씨손_현대민화작가)
  • 5차시 : 제주문자도의 독창성, 그 현대적 조형미 (강사:변종필 관장_제주현대미술관)
  • 6차시 : 제주의 독자적 제례문화와 식개반 (강사: 김지순 명장_제주향토음식명장 1호)
  • ■ 제주문자도에 나타난 문화와 예술적 이해 - 제주문자도와 병풍
  • - 교육대상 : 초등학생
  • - 모집기수 : 14기 (9월 1일 ~ 11월 27일)
  • - 회차별 교육인원 : 30명
  • - 강의 내용
  • 1차시 : 제주문자도의 이해 (강사: 강보라미)
  • 2차시 : 제주문자도 병풍 만들기 (강사: 강보라미)

프로그램 구분

대면

위치

Created with Sketch.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14길 36
Created with Sketch.